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운길산(雲吉山 경기양평 610m)

산행·트레킹

by 바 람 2009. 10. 6. 02:30

본문

                  

             

 산행일 : 2009.10.6(화)

 산행코스 : 운길사역 - 마전 - 동국대연습림 - 조곡 - 세정사 - 끝마을 - 고개사거리 - 490봉 - 503봉 - 운길산 - 수종사

                - 송촌리 이덕형별서터 - 운길사역

 

 

 

 

 

 

              ▲  09 시 50분 운길산역

 

 

 

 

 

 

 

 

 

 

 

 

 

 

 

 

 

 

        ▲  마편초과의 낙엽관목인 작살나무에 예쁜 보라색 열매가  열려있다. 

 

 

 

 

 

 

  ▲ 10시20분 조곡리 - 재래식 된장을 직접 담가서 판매하는 곳이다. 아담하고 고즈넉한 풍경이다.

      숲에도, 들이나 냇가에도,가지런히 놓인 장독대 위에도  금빛 햇살이 쏟아지고 있다. 정체된듯한 고요함이  

      그러나 힘찬 에너지같은게 느껴지는 그런 아침이다.

      희끗희끗한 머리를 길게 말총머리채를 한 중년이 조금 넘은듯한  집주인이 장독대 옆에 펴놓은 평상에

      걸터앉아 주간지를  펴보고있다. 객을 보고는 반갑게 인사를 건넨다. 도회에 살다가 귀농(歸農)을 했다고 한다. 

      몇박자 "느림(遲)을 즐기며 한가롭게" 사는거 같아서 문득 조금은 부럽다는 생각이 스친다.

 

  

 

 

 

 

 

 

 

 

 

 

 

 

 

 

 

 

   ▲조곡리 계곡을 오르는 동안  이런 아담한 집들이 여러채   눈에 띄었다.

      앞으로는 조곡천의 맑은 내(川)가  흐르고  집앞 다랭이 논에는 벼들이 황금빛으로 물들었다 따사로운  햇살이

      비치자 골짜기 전체가 느린 기지개를 켜며 잠에서 깨어나  아침을 맞는다.

 

 

 

 

 

 

       ▲  10시55분 - 조곡리 끝마을어구 

 

 

 

 

 

 

 

 

 

 

 

 

 

 

 

 

 

 

 

   ▲  "누리장꽃나무"가  열매를 터뜨려 까만 씨앗은 떨구고  빨간 빈껍질만 매달고 있다.

 

 

 

 

 

 

 

  ▲11시17분에 고개사거리 다다렀다  들머리를 들어서서 여기까지 1시간을 오는 동안 처음으로 이 지점에서 부부로

     보이는 등산객을 만났다  

     대부분의 등산객들이 진중리를 들머리로 택하고 수종사를 거쳐 운길산에 오른뒤 예봉산방향이나 고래산쪽으로

     진행을 하던가 도곡리 또는 조곡리 쪽으로 하산 하기 때문에  이시간에  

     이 부근은 사람의 통행이 뜸한가 보다.

     여기가 운길산,수종사방향,  예봉산과  고래산방향  그리고 도곡리 약수터 하산길  갈림길이다.

 

    

 

 

 

 

 

 

 

 

 

 

 

 

 

 

 

 

 

 

 

 

 

 

    ▲  12시34분 - 운길산 정상을 오르기직전의  전망바위에서의  조망 

 

 

 

 

 

 

 

 

 

 

 

 

 

 

 

 

 

 

 

 

 

 

 

 

        ▲  수종사(水鐘寺) 대웅전 추녀끝에 매달려 있는 풍경(風磬)

 

 

 

 

 

 

      ▲   왼쪽 끝으로 보이는 능선끝이  갑산(546m), 그리고 중앙에 보이는 산이 고래산(531.9m)

 

 

 

 

 

 

 

 

 

 

 

 

 

 

 

 

 

 

    ▲ 12시43분 정상석 앞 전망대에는 먼저온 남녀 등산객들이 차지하고 앉아있고 그옆으로는 좌판에 캔맥주,

        감로주(동동주)등을 벌여놓고  팔고있다.

        3000원을 주고 캔맥주 하나를 샀다. 정상에서 마시는 한모금 정상주...... 이맛을 또 어디에 비할 수 있을까?

 

 

 

 

 

 

 

 

 

 

 

 

 

 

 

 

 

 

 

 

 

 

 

 

                 ▲  적갑산(564m)과 예봉산 (683.2m)   

 

 

 

 

 

 

                   ▲  멀리  축령산 (679m)과  명지산(1267m)

 

 

 

 

 

 

 

 

 

 

 

 

 

 

 

 

 

 

 

 

 

 

 

                                                   

 

 

             ▲  가운데 나무뒤로 운길산역 보인다

 

 

 

 

 

 

 

 

 

 

 

 

 

 

 

 

 

 

 

 

 

 

 

 

 

 

 

 

 

 

 

 

 

 

 

 

     ▲  수령이 500년이나  되었다는 커다란 은행나무도 이제 노오란 새옷으로 갈아입기 시작했다 

 

 

 

 

 

 

  

 

                                                   

                                           

 

 

 

   ▲ 강원도 금대봉기슭 검룡소(儉龍沼)에서 발원하여 흘러 온 남한강과 금강산에서 시작되어  달려온 북한강의

       물길이 합쳐지는 두물머리(二頭水).

       옛날 육로 교통이 불편했던 시절에는 물길(水路)이 훨씬 빠르고 유용한 교통수단 이였을것이다. 이곳이 강원도

       정선, 충북 충주, 단양등의 상류지역과  서울의 마포나루를 잇는 물길의 중간 지점으로 이곳 나루가 옛날에는

       상당히 번창했다고 한다.

 

 

 

 

 

 

 

       ▲  삼정헌(三鼎軒)창밖 화단에 피어있는  국화꽃이 유난히도 노랗다. 

 

 

 

 

 

 

   ▲차방(茶房) 삼정헌(三鼎軒) - 대웅전 마당 오른쪽 두물머리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전망좋은  위치에 삼정헌이

      위치하 고 있다.

      다산(茶山) 정약용(鄭若鏞)이 교분있는 묵객들을 불러모아  시(詩)를 읊기도 하고  이곳의 맑은 석간수(石間水)로

      차(茶)를 우려 즐기며 사상과 학문을 논(論)하곤 했으리라. 현재의 이 삼정헌(三鼎軒 )은 1999년에 건축된 건물로서

      이곳을 찾는  내방객들에게 무료로 차를 대접하고 있다. 

 

 

 

 

 

 

      ▲ " 다향만당(茶香滿堂)" 다산의 표현처럼

            저 다실(茶室) 안이 차향으로 가득할 것 같다. 여기까지 차향이 은은하게 풍겨오는 것만 같다.

 

 

 

 

 

 

   ▲이 수종사 5층석탑은  고려시대의 양식으로 조선 성종28년(서기1628년)에 건립 한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탑을 해체하여 이전 복원하는 과정에 불상,사리등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왼쪽이 수종사사적기에 기록되어 있는 금성대군이  세운 정의옹주의 부도인가 보다.

 

 

 

 

 

 

 

 

 

 

 

 

 

 

 

 

 

 

 

 

 

 

 

    ▲ 14시13분  송촌리 이덕형별서인 용진별서(龍津別墅)

        조선시대 대학자로서  백사 이항복과 함께 우리에게는"오성과 한음"으로 더 잘 알려진 문익공 이덕형의

        별서가 있던 자리라고 한다

        중국의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쓴 대아당(大雅堂)이라는 편액(扁額)은 없어지고 집앞에 있던 두그루 은행나무와

         승하마석(乘下馬石)말이 높아서 말을 타고 내릴때 딛던 돌)과 여기가 별서가 있던 곳을 알리는 표지석만 서있다.

 

 

 

 

 

 

    ▲별서(別墅)앞에 서있던 은행나무 -  수령 400년  높이 15m 나무둘레 5.5m

       이곳 송촌리(松村里)의  마을 이름은 이덕형의 호인 쌍송(雙松 - 松松)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이지역에는 이덕형의 후손 광주이(李)씨들이 20여호 집성을 이루어 살고있다.                                  

       동리어구에 한음 이덕형의 시비(詩碑)가 광주이씨 후손들에 의해 세워져 있다. 이 비(碑)의 마지막절 "아마도

       劉伶  李白이 내 벗인가 하노라"에서 유령(劉伶)은 주덕송(酒德頌)으로  잘 알려진 진나라때의 시인을 말하며

       이백은 너무도 유명한  당(唐)대의 시인 이태백을 지칭한다.   

 

 

 

 

 

관련글 더보기